"죽을 때까지 세월호 참사를 잊지 말고 생명안전의 도시 안산으로 만들어 가야지.”-정세경 회원 인터뷰
김 우
정세경 회원은 12월에 진보당 국회의원 예비후보 등록을 하고 열심히 뛰고 있다. 언제부터 진보당 당원이 된 건지 물었다. 민주노동당, 통합진보당, 민중당, 진보당 당원으로 ‘진보정당 당원이 아닌 적이 없었다’고 한다. 민중당 시의원 후보로 나서며 본격적인 정치 행보를 시작했다.
“굳건하게 시민안전공원을 방어하고 (추진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는 생각이었어.”
세월호 참사 촛불이 횃불이 돼서 박근혜 탄핵을 가져왔지만, 지역 양당의 행태는 여전했다. ‘납골당’이라는 프레임을 씌워 혐오 정치를 펼치는 정당과 분명한 포지션을 취하지 않으며 몸을 사리는 정당의 ‘후진’ 모습에 분연히 나섰다고나 할까.
“선거라는 열린 공간에서 누군가는 이런 얘기를 해야 한다는 생각이 강했던 거지. (세월호) 가족의 목소리, 시민의 목소리를 내고 싶었어. 아이들이었지. 아이들에게 한 약속을 지키려고 겁도 없이 나간 거였지.”
정 회원은 ‘안산이라는 첨예한 곳에서 화랑 유원지를 품고 있는 동네’에서 세월호의 진실과 생명안전공원의 진실을 밝히고 싶어서 출마한 것이었다. ‘납골당에 찬성하냐?’며 공격하는 주민 앞에서도 당당한 정 회원에게 오히려 세월호 가족들이 세월호 배지를 떼고 선거 운동하라고 조심스레 권할 정도였다.
사실 정 회원은 ‘운동권’이었다. 20대 때부터 학교 졸업 대신 현장을 선택해 노동운동을 시작했다. 지금도 ‘꿈꾸는 세상’을 위해 살아가겠다는 생각에는 변함이 없다. 하지만 노동조합만으로는 바뀌지 않는 세상을 절감했기에 노동자 직접 정치로 진보 집권을 실현해야한다고 생각한다. 보수 양당 정권 교체가 아닌 정치 교체, 체제 교체로 민중의 삶이 나아져야 한다는 진심이 입법부인 국회 안에서 살아 숨쉬기를 희망한다.
“공장 노동자로, 기름밥 인생으로 살아왔는데 현실에 벽들이 많잖아. (다른 정당 후보들은) 가방끈도 길고, 재산도 많고, 경력이며 양력도 쭈~욱 있다면 말이지.”
빵빵하게 받쳐주는 양당과는 다른 소수정당의 후보로 당선 가능성은 높지 않다. 그래도 정 회원은 언제나 희망을 놓지 않고 미래를 꿈꾸고 싶다. 아니 미래를 창조하고 싶다. ‘올해 안되더라도’ 다른 후보들이 이어져서 언젠가 혐오와 배제의 정치를 바꾸는 날이 올 거라 믿는다. 해서 그런 미래를 이야기하는, 그런 미래를 연결하는, 귀와 입이 민중의 가슴에 닿아있는 후보자가 되고 싶다. |